건강의학

분당 심박수 60~100회면 평균 수명 80세

컨텐츠 정보

본문

3717270809_gGWti6Om_06662f091810cc17f3bf0c0c8f35ca174e4825a9.jpg

“생명은 최초의 심장박동으로 시작되며 마지막 박동으로 끝난다.”(아리스토텔레스)
심장은 끊임없이 뛴다. 수축운동을 통해 동맥으로 혈액을 온몸 구석구석에 내보내고 다시 확장하며 정맥의 피를 받아들인다. 심장의 역할은 단순해 보이지만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처럼 생명유지를 위해 가장 중요한 활동이다. 심장의 펌프운동을 ‘심장박동’이라고 한다.

성인 기준 심장의 크기는 약 250~350g으로 주먹보다 조금 크다. 심장은 심근이라는 근육으로 돼 있고 내부는 우심방과 우심실, 좌심방과 좌심실 4개의 방이 있다. 심장이 끊임없이 심장박동을 지속하는 동력원은 우심방에 있는 동방결절(洞房結節)이라는 곳에서 생기는 전기신호다. 이 동력원을 이용해 1분에 약 5L의 혈액을 온몸에 내보낸다.
건강한 사람의 평상시 심장박동수(심박수)는 분당 60~100회 정도. 신생아는 120∼140회 뛴다. 마라톤 등 꾸준하게 운동을 하는 사람들의 심박수는 50회 정도다. 선수들은 40~45회 수준.

심박수를 재는 방법은 간단하다. 손바닥이 보이도록 손을 뒤집고, 손목에서 손으로 연결되는 부위에서 약 1~2cm 떨어진 부위의 좌·우측을 조심스럽게 반대편 검지와 중지로 누른다. 팔딱팔딱 뛰는 것이 맥박, 즉 심박이다. 손목에서 잘 느껴지지 않으면 양쪽 목에서 턱의 각진 곳(귀 아랫부분)이 만나는 부분을 살짝 누르면 맥박이 더 강하게 느껴진다. 1분 동안 총 몇 번의 맥박이 뛰는지 세어본다. 평상시 규칙적으로 뛰는 심장박동은 건강에 이상이 없다는 신호다. 하지만 격한 운동을 할 때나 감정적으로 흥분해 있으면 심박수는 많아진다.

분당 600회 뛰는 생쥐 수명은 5년
심박수는 동물마다 차이가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재미있는 연구결과가 있다. 심박수가 느리면 기대 수명이 길다는 것이다.

1997년 미국심장학회지에 발표된 ‘안정시의 심박수와 기대 여명(Rest heart rate and life expectancy)’ 논문에 따르면 분당 심장박동수가 약 6회인 갈라파고스 바다거북은 평균수명이 170년을 넘는다. 분당 심박수가 약 600회인 생쥐의 기대 수명은 5년이다. 분당 150~170회 뛰는 개와 고양이는 약 15년 정도다.

분당 심박수가 60~100회인 사람의 평균 수명은 우리나라 기준 약 80세다. 그렇다면 사람의 기대 수명도 다른 동물처럼 심박수의 영향을 받을까.

현재까지 심박수와 사람의 기대 수명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결과가 나오지는 않았다. 하지만 그 가능성을 점쳐볼 만한 내용들은 소개되고 있다.

96년 미국심장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심박수가 분당 5회 상승하면 관상동맥질환 발생 가능성이 1.14% 증가한다. 관상동맥은 심장에 혈액을 보내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는 3개의 굵은 혈관이다. 관상동맥의 내부가 피떡(혈전)으로 막힌 것이 심근경색이고, 관상동맥에 찌꺼기가 쌓여 혈관이 점차 좁아지면 협심증이다. 심장돌연사의 원인 중 하나다.

또 연구결과를 보면 평상시(안정시) 심박수가 분당 60회 이하인 사람보다 80~89회인 사람이 심장에 혈액 공급이 잘 안 돼 심장운동능력이 떨어지거나 심장근육이 죽는 협심증·심근경색 등 허혈성 심장질환 발생 가능성이 2배 더 높다.

연구결과를 종합 분석한 결과를 보면 심박수가 분당 10회 감소했을 때 허혈성 심장질환자는 심장혈관질환에 따른 사망 위험을 30% 줄일 수 있었다. 심장질환이 있는 사람은 평상시 심박수를 낮춰 심장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미국심장학회는 관상동맥질환자의 심장 부담을 줄이기 위해 고혈압·당뇨병·비만 등 위험요소 관리와 함께 분당 55~60회 정도의 심박수를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경희대 동서신의학병원 심장혈관센터 진은선 교수는 “과연 심박수를 느리게 하는 것이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의문이 남아 있다”며 “하지만 심근경색증 환자에게 심박수를 느리게 하는 치료를 해서 수명을 연장하고 심장질환의 재발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은 그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규칙적인 운동, 금연하면 심박수 줄어
분당 심박수가 높다는 것은 심장이 더 많은 운동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심장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 건강한 사람에게 일시적인 심장 과부하는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평상시에도 심박수가 너무 빠르고, 가슴이 아프고, 숨이 찬다면 심장 건강에 문제가 있음을 의심해볼 수 있다. 심박수가 높으면 심장이 펌프운동을 많이 해서 피곤해지고 결국 심근경색, 협심증 등 허혈성 심장질환을 일으킬 수도 있다.

사람은 다른 동물과 달리 마냥 심박수가 낮다고 건강에 좋은 것만은 아니다. 고려대 구로병원 순환기내과 서홍석 교수는 “평상시 심박수가 분당 50번 이하인데 심장질환 증상이 동반되면 펌프질 능력이 떨어지는 심부전이나, 심박수가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 또는 협심증 등 심장병일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심박수는 생활습관 개선으로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혈관에 이물질을 쌓이게 해 동맥경화증을 유발하는 담배를 끊고,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비만도 심박수를 빠르게 하는 원인 중 하나이므로 체중조절이 필요하다.

서 교수는 “생활습관 노력에도 심박수가 높고 심장질환 위험 인자가 있다면 치료를 통해 심박수를 낮추는 방법이 있다”며 “최근 심박수만 떨어뜨리는 치료제들도 개발됐다”고 덧붙였다. 관상동맥질환의 위험 요인인 고혈압·당뇨병·대사증후군(비만)이 있고 심장혈관질환 가족력이 있는 사람이 분당 심박수가 80회보다 빠르면 검진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93 / 5 페이지
RSS
  • 건강건진 그리고 콜레스테롤 수치와 간수치

    # 건강검진의 필요성매년 돌아오는 연말연시 검강검진 시즌, 매일 바쁜 직장인들은 미루고 미루다가 연말에 가까워져셔야 챙기긱 일쑤입니다. 조금은 귀찮기도 한 건강검진, 그러나 꼭 받아야 하는 건강관리의 기본 인데요.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거나 예방할 수 있기 때문 입니다. 특히 불규칙한 생활과 서구화된 식단을 즐기는 현대인들은 정기적인 건강검지이 필요합니다.여러가지 혈액검사 항목 중 특히 주목해봐야 할것은 혈중 콜레스테롤, 간수치 결과 입니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로 고지혈증 등 심혈관계 질환의 유무를 알 수 있는데, 콜레스테롤에도 여러 종류가 있어서 조금 헷갈릴 수 있습니다. 흔히 '나쁜 콜레스테롤' 이라 불리는 저밀도 콜레스테롤(LDL)은 지나치게 많아지면 혈관 벽이 쌓이게 디ㅗ고, 다른 여러 물질들과 작용…

  • "엄마는 158cm, 나는 177cm" 모델 한혜진, 큰 키 '비결' 공개, 도대체 뭐길래

    [서울경제]아이들의 ‘키’는 모든 부모들의 관심자이자 걱정 거리 중 하나다. 성장 호르몬 주사인 이른바 '키 크는 주사' 등 의료적 요법까지 고민하는 부모들을 주위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을 정도다.최근 177㎝의 큰 키를 자랑하는 모델 한혜진은 지난 12일 유튜브 채널 '피식대학PsickUniv'에 출연해 자신이 큰 키를 갖게 된 비결을 밝혀 이런 부모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혜진은 자신이 남들보다 큰 키를 가질 수 있었던 비결로 ‘이른 시간의 충분한 수면’을 꼽았다. 특히 오후 10시에서 오전 2시 사이 숙면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키 크는 팁은 이른 저녁에 침대로 가서 잠을 많이 자는 것”이라고 말했다.모델 한혜진(오른쪽)과 그의 부모님. 사진=한혜진SNS캡처해당 채널 진행자 이용주가 “솔…

  • 목감기에 좋은 음식 vs 나쁜 음식, 목감기 빨리 낫는 법

    목감기에 걸리면 침만 삼켜도 통증이 느껴지고, 음식을 아예 먹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목감기를 완화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목감기의 원인과 증상부터 도움 되는 음식, 피해야 하는 음식을 알려드릴게요.목감기(인후염)이란?흔히 목감기라고 부르는 증상을 의학적으로 '인후염'이라고 불러요.인후와 후두 점막에 염증이 발생한 것을 말하며, 후두 인두염, 인후두염이라고도 부르기도 해요. 대부분 바이러스나 세균 등에 감염되어 염증이 생겨 발생해요.목감기(인후염) 증상은?인후염 증상 초기에는 목마름이나 기침 증세가 나타나다가,심해지면 통증 때문에 음식을 삼키기 어려워지며 고열, 두통, 가래, 식욕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 입에서 냄새가 나고 혀에 설태가 끼기도 하며, 후두에까지 염증이 번지면 목소리가 쉬거…

  • 저주파 소음

    저주파소음은사람의귀로들을수없는100Hz미만의저주파로인해만들어지는소음을말해요.저주파소음은일상생활에서접하는소음과달리직접시끄러움을인식할수는없어요.하지만우리몸은이것을본능적으로느끼죠. 실제로저주파소음은공연장에서나오는강력한소음만큼인체에강한진동을느끼게하는데요.이런소음에지속적으로노출되면뇌와장기에영향을주어호르몬분비에이상을일으키고,아이의집중력을떨어뜨리거나머리를아프게해스트레스를줍니다.또한,불안한감정을느끼게해심장박동도빨라지게만드는등인체에악영향을줘요. 저주파소음은우리가자주사용하는에어컨,가습기,보일러,냉장고,온수매트,제습기등전자제품등에서주로나와요,심지어버스나기차와같은대중교통에서도발생하죠.보통소음은공기를통해서쉽게사라지지만저주파소음은문을닫고있어도벽이나문을통해서도전달됩니다. 저주파 소음 퇴치하려면?"환기 자주 시키고 전자제품 멀리하자!"…

  • 건강한 삶을 위한 운동

    한국인의 평균(기대) 수명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2020년 태어난 아이들의 기대 수명은 83.5년으로 전년보다 0.2년 상승했다. 이는 20년 전에 태어난 2000년생보다 평균 수명이 7.5년 더 늘어난 것이다. 성별에 따라 기대 수명을 나눠보면 2020년 출생한 여성은 86.5세, 남성은 80.5세다.그렇다면 조기 사망하는 일이 없이 평균 수명을 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전문가들은 "건강한 식습관과 함께 운동이 평균 수명을 사는데 핵심적인 요소"라고 말한다. 이와 관련해 '더가디언닷컴' 등의 자료를 토대로, 사망 위험을 낮추는데 도움이 되는 운동에 대해 알아본다.△걷기주로 앉아서 생활하는 사람은 조기 사망할 확률이 높다. 중국 산둥대학교 연구팀은 낮은 강도의 운동만 해도 …

  • 중년층 윗몸 일으키기 위험할 수 있다?

    여름철 강한 자외선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시력에 악영향을 미치는 눈 질환이 생길 위험이 크다. 대표적인 예가 백내장이다. 백내장은 눈 속 수정체가 혼탁해지면서 시력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이다. 주원인은 ‘노화’다. 60대 이상에서 백내장 발병률이 높은 이유다. ‘자외선 노출’도 무시하지 못할 원인으로 지목된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매년 백내장으로 실명하는 사람은 1600만 명으로 추정되는데, 이 가운데 20%가량은 자외선 노출이 원인으로 꼽힌다. 눈 보호를 위해 일상 속 각별한 관리가 필요한 이유다.100만 개가 넘는 신경섬유로 구성된 눈은 신체에서 가장 빨리 늙고 외부 자극에도 쉽게 손상된다. 백내장을 예방하고 눈 건강을 지키려면 생활습관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 우선 야외 활동 시 선글라스나 모자를…

  • 물만 먹어도 살이찐다??

    대부분 현대인들이 12시간의 공복을 지키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잘못된 생활 습관이 반되다 보면 호르몬의 기능이 떨어지게 도고 우리 몸의 신진대사가 무너지면서 살이 찌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 입니다. 많이 먹어서 살이 찌는 것이 아니라, 쉬지않고 먹어서 살이 찌는 것입니다.

  • 키 크는 주사의 배신?

    성장호르몬치료제를오남용할경우각종질환의위험을높일수있습니다.대표적인질환은‘당뇨’입니다.성장호르몬은인슐린저항성을유발할수있어,성장호르몬결핍증이없는아이가성장호르몬주사를맞으면차후당뇨병에걸릴위험이커질수있습니다.미국소아1만1000명을대상으로분석한연구결과를보면,성장호르몬치료를받은소아는인슐린기능이떨어져유발되는제2형당뇨병발병위험이8.5배높은것으로밝혀졌습니다.이외에도갑상선기능저하증,척추측만증의발병위험이커진다고보고됐습니다.장기간과다투여하면손과발,얼굴뼈의과도한성장을일으키는말단비대증,수분저류로인한부종이나관절통등도생길수있습니다.자가주사제형인치료제특성상주사행위자체에따른부작용도있습니다.대표적인부작용으로는주사부위에발생하는통증,가려움증,발적등의증상이있습니다.보통이러한증상은수일내에사라지지만,며칠이지나도호전이없거나악화하면되면병원을찾아진료를받아야합…

  • 젊은 고혈압은 괜찮다? NO! 더 위험한 이유

    어느날 건강검진을 받았는데 혈압이 높다거나 고혈압 전단계 또는 고혈압이 의심된다는 말을 들어본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상하죠? 정작 내 몸에는 아무 이상도 없는 것 같은데 말입니다. 그래서 고혈압을 '침묵의 병'이라고도 합니다.고혈압의 위험 요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조절이 불가능한 위험 요인에는 성별, 연령, 가족력 등이 있습니다.남성은 55세 이상, 여성은 65세 이상인 경우 고혈압에 걸릴 위험이 높아지고 부모, 형제, 자매 중 심혈관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고혈압 위험인자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과음, 흡연 등이 고혈압 발생 위험을 높이고 스트레스 역시 마찬가지입니다.비만 체형과 운동 부족 등의 생활습관도 고혈압에 좋지 않습니다. 칼륨 섭취량이 부족하거나 짜게 먹는 식습관 그리…

  • 다크초콜릿의 유래와 효능

    ■초콜릿 의 유래 ? 남아메리카 또는 고대 멕시코 원주민(올메크족)들이 카카오나의 열매(콩)를 잘게 부숴 "초코라틀(Chocolatl; 카카오 물 이란 뜻) 이라는 음료수로 만들어 먹은 데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콜롬부스에 의해 유럽으로 전해졌는데, 처음에는 설탕이나 우유가 들어가지 않아 쓴맛을 내는 약과 비슷한 식품으로 매우 귀한 대접을 받아 화폐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귀족이나 성직자들만 먹을 수 있었으나 세월이 지남에 따라 설탕과 우유, 향료 등 다양한 첨가물이 들어가면서 오늘날 우리가 먹는 맛있는 과자 형태로 되었다고 합니다. 카카오(Cacao)나무는 "테오브로마(Theobroma)" 라고 하는데, 그리스어로 "신들의 음식" 이란 의라고 합니다. 마야인들은 서기 600년 경 부터 카카오 열매를 화…

  • 두통·어지럼증 잦다면..'머릿속 시한폭탄' 뇌동맥류 의심을

    뇌혈관 벽 문제 생겨 붓는 질환 - 비파열성, 무증상인 경우 많아- 동맥경화증 등 위험 인자 꼽혀- 30대 이상·여성에 유병률 높아- 금주·금연하고 조기 검사 필요 주부 A(45) 씨는 평소에 없던 두통과 어지러움이 근래 자주 나타났다. 머리가 묵직하게 느껴지고, 밤에 자다가 손도 자주 저렸다. 병원에 가서 검진을 받으니 뜻밖에도 ‘뇌동맥류’라는 얘기를 듣고 깜짝 놀랐다. 이는 ‘머릿속의 시한폭탄’이라 불릴 만큼 무서운 뇌혈관 질환이다. 이와 관련해 진료받는 환자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고신대복음병원 신경외과 박정현 교수의 도움말로 뇌동맥류 치료 예방법 등에 대해 짚어봤다. 뇌혈관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뇌동맥류는 40~60대 연령에서 빈발하고, 남성보다 여성 발생률이 더 높다. 고신대복음병원 …

  • 키스로 얻는 질병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증[herpessimplexvirusinfection,herpesvirusinfection]정의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증은 헤르페스 바이러스 과(FamilyHerpesviridae)에 속하는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감염증으로 원인 바이러스는 매우 다양합니다. 여기에 속하는 바이러스로는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1형, 2형(herpessimplex;HSVtype1, 2),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 (VaricellaZosterVirus;VZV),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stein-BarrVirus;EBV),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CMV), 사람헤르페스바이러스 6, 7, 8형(HumanHerpesVirustype6. 7. 8) 등이 있습니다.원인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1형, 2형…

  • 온몸 가려움증… '이 장기' 망가졌다는 뜻?

    신장 기능이 떨어지면 몸에 노폐물이 쌓이면서 가려움을 유발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가려움은 보통 피부 건조에 의해 발생한다. 특히, 건조한 겨울철에 가려움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신장 건강의 적신호일 수 있다.◇신장 기능 떨어지면 가려움증 생겨신장(콩팥) 기능이 떨어지면 몸에 노폐물이 쌓이면서 가려움증이 생긴다. 신장은 혈액 속 노폐물을 걸러내고 적혈구를 만들며 혈액에서 나트륨과 칼슘, 인과 같은 미네랄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혈액 속 미네랄과 영양소의 균형이 깨지거나 노폐물 배출이 원활하게 되지 않아 몸속 독소가 쌓이면 만성 염증이나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등 증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신경세포가 손상되면 가려움증이 유발된다. 신장질환자의 절반 이상이 가려움을 호소하는데, 온몸이 가려우면서…

  • 거북목 증후군

    # 거북목 증후군거북목이라고 흔히 부르는 자세는 거북이가 목을 길게 빼고 있는 것과 비슷한 자세를 말한다. 옆에서 봤을 때 어깨가 앞으로 구부정하면서 목은 앞으로 기울어 어깨선보다 머리가 앞에 위치하며, 턱은 상대적으로 들어올린 자세가 전형적인 거북목 자세이다. 거북목증후군은 이러한 목과 어깨의 잘못된 정렬로 주변 근육과 인대에 과도한 부하가 거리게 되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근골격계의 통증을 포함한 여러 증상들을 통칭하는 것으로, 의학적인 진단명은 아니지만 흔하게 통용되고 있다.* 자료출처: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공식블로그 / 재활의학과 한나미 교수님

  • 중년을 위한 기적의 뱃살 빼는 법

    # 정제된 탄수활 끊기정제된 탄수화물, 빵, 떡, 면, 과자, 과당 음료수는 우리 몸에 들어오면 급격하게 혈당을 올리게 됩니다. 탄수화물 중독은 거의 마약 중독자과 비슷#탄수화물중독#정제 탄수화물#혈당 스파이크

알림 0